728x90
2. 비선형 콘텐츠
- 컴퓨터 게임이나 컴퓨터 기반 훈련과 같이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행 상황을 제어하는 멀티미디어의 특징
- 하이퍼미디어 콘텐츠로도 알려짐
3. 비밀키 암호화 기법
- 암호화와 복호화 시 사용하는 키가 동일하므로 대칭키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함
- 안정성은 키의 길이 및 키의 비밀성 유지 여부에 영향을 많이 받음
- 사용자가 증가할 경우 상대적으로 관리해야 할 키의 수가 많아짐
공개키 암호화 기법 | 비밀키 암호화 기법 |
암호키 공개, 복호키 비공개 (비대칭) | 암호키와 복호키가 동일 (대칭키/단일키) |
암호화, 복호화 속도가 느림 | 암호화 복호화 속도가 빠름 |
복잡한 알고리즘 | 단순 알고리즘 |
키 분배 용이하고 관리할 키 수가 적음 | 사용자 증가 시 관리할 키 수가 증가함 |
대표 방식 : RSA | 대표방식 : DES |
13. 레지스터
- 프로그램 카운터(PC) : 다음 번에 실행할 명령어의 번지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 명령 레지스터 : 현재 실행 중인 명령을 기억함
- 부호기 : 해독된 명령에 따라 각 장치로 보낼 제어 신호를 생성함
-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 기억장치에 입출력 되는 데이터의 번지를 기억함
14. 프린트 관련 용어
- CPS(Character Per Second) : 초당 인쇄되는 문자 수 (인쇄 속도 단위)
- BPS(Bits Per Second) : 초당 전송되는 비트 (전송 속도 단위)
- PPM(Paper Per Minute) : 분당 인쇄되는 페이지 수 (인쇄 속도 단위)
- DPI(Dots Per Inch) : 1인치에 표시할 수 있는 점의 수 (해상도 단위)
15.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
- 컴퓨터의 기본 입출력 장치나 메모리 등 하드웨어 작동에 필요한 명령을 모아놓은 프로그램
- 전원이 켜지면 POST를 통해 컴퓨터를 점검한 후 사용 가능한 장치들을 초기화하여 윈도우가 시작될 때까지 부팅 과정을 이끔
- ROM에 저장되어 있어 ROM-BIOS라고도 함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 형태인 펌웨어임
- CMOS에서 설정 가능한 항목 : 시스템의 날짜와 시간, 하드디스크 타입, 부팅 순서, 칩셋, 전원 관리, PnP, 시스템 암호, Anti-virus 등
17. Windows의 [시스템 구성]
- Windows가 제대로 시작되지 않는 문제를 식별하도록 도와주는 고급 도구
- 한 번에 하나씩 공용 서비스 및 시작 프로그램을 끈 상태에서 Windows를 재시작한 후 다시 켤 때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서비스가 문제의 원인임을 알 수 있음
- 부팅 옵션 중 '안전 부팅'의 '최소 설치'를 선택하면 중요한 시스템 서비스만 실행되는 안전 모드로 Windows를 시작하며, 네트워킹은 사용할 수 없음
- 정상 모드 : 모든 장치 드라이버 및 서비스 로드
- 진단 모드 : 기본 장치 및 서비스 로드
- 선택 모드 : 시스템 서비스 로드, 시작 항목 로드, 원래 부팅 항목 로드를 선택할 수 있음
18. Windows의 [폴더 옵션] 창
- 숨김 파일이나 폴더의 표시 여부를 지정할 수 있음
- 폴더에서 시스템 파일을 검색할 때 색인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음
-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을 숨기도록 설정할 수 있음
- 폴더 옵션에서는 파일이나 폴더의 보기 형식, 검색 방법 등에 대한 설정을 변경함
20. Windows 작업 표시줄
- 작업 표시줄의 위치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크기는 화면의 1/2까지 늘릴 수 있음
- 작업 표시줄에 있는 단추를 작은 아이콘으로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음
- 작업 표시줄을 자동으로 숨길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음
- 작업 보기 단추, 검색 상자는 숨기기 가능하나 시작 단추는 숨길 수 없음
28. 셀 포인터 이동 작업
- <Ctrl> + <Page Down> : 다음 시트로 이동
- <Alt> + <Page Down> : 한 화면 오른쪽으로 이동
- 이름 상자에 셀 주소 입력 + <Enter> : 해당 셀 위치로 이동
- <Ctrl> + <Home> : A1 셀로 이동
- <Home> : 해당 행의 A열로 이동
30. [개발 도구] - [컨트롤] 그룹
- 컨트롤 종류 : 텍스트 상자, 목록 상자, 옵션 단추, 명령 단추 등
- ActiveX 컨트롤은 양식 컨트롤보다 다양한 이벤트에 반응할 수 있지만, 양식 컨트롤보다 호환성은 낮음
- ActiveX 컨트롤은 [디자인 모드]에서 크기, 이동은 가능하지만 매크로 동작은 실행되지 않음
- 양식 컨트롤은 [디아진 모드] 상태와 상관없이 매크로 동작 실행 및 크기, 이동 등이 가능
- 양식 컨트롤의 단추를 클릭하거나 드래그 해서 추가하면 [매크로 지정] 대화상자가 자동으로 표시됨
34. 배열 수식
조건이 한 개일 때 개수 구하는 방법
- {=SUM((조건) * 1)}
- {=SUM(IF(조건, 1))}
- {=COUNT(IF(조건, 1))}
조건이 여러 개일 때 개수 구하는 방법
- {=SUM((조건1) * (조건2) * 1)}
- {=SUM(IF(조건1, IF(조건2, 1)))}
- {=COUNT(IF(조건1, IF(조건2, 1))}
조건이 한 개일 때 합계 구하는 방법
- {=SUM((조건) * (합계를 구할 범위))}
- {=SUM(IF(조건, 합계를 구할 범위))}
조건이 한 개일 때 평균 구하는 방법
- {=AVERAGE(IF(조건, 평균을 구할 범위))}
37. 인쇄 기능
- 기본적으로 워크시트의 눈금선은 인쇄되지 않으나 인쇄 되도록 설정할 수 있음
-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의 [시트] 탭에서 '간단하게 인쇄'를 선택하면 텍스트만 인쇄됨
- [인쇄 미리 보기 및 인쇄] 화면을 표기하는 단축키는 <Ctrl> + <F2>
- [인쇄 미리 보기 및 인쇄]에서 '여백 표시'를 선택한 경우 마우스로 여백을 변경할 수 있음
41. Access 파일 암호 설정
- 데이터베이스를 단독 사용 모드(단독으로 열기)로 열어야 파일 암호 설정 가능
- 엑세스 프로그램 실행
- [파일] - [열기] 클릭, 해당 엑세스 파일 선택 후 [단독으로 열기] 실행
- [파일] - [정보] 클릭, [데이터베이스 암호 설정] 클릭하여 암호 설정
42. 데이터베이스 언어
- 데이터 제어어(DCL) : 데이터 보안, 데이터의 정확성을 위한 무결성 유지, 시스템 장애에 대비한 데이터 회복, 병행 제어 등을 하기 위한 언어로 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 의해 사용됨
- 데이터 정의어(DDL) :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또는 응용 프로그래머가 데이터베이스 구조, 데이터 형식, 접근 방식 설정 등 데이터를 생성, 수정
- 데이터 조작어(DML) : 사용자로 하여금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하는 도구, 사용자(응용 프로그램)와 DBMS 간의 인터페이스(의사소통)를 제공
44. 보고서의 그룹화 및 정렬
- 그룹은 머리글과 같은 소계 및 요약 정보와 함께 표시되는 레코드의 모음으로 그룹 머리글, 세부 레코드 및 그룹 바닥글로 구성됨
- 그룹화 할 필드가 날짜 데이터면 전체 값(기본), 일, 주, 월, 분기, 연도 중 선택한 기준으로 그룹화 할 수 있음
- Sum 함수를 사용하는 계산 컨트롤을 그룹 머리글에 추가하면 현재 그룹에 대한 합계를 표시할 수 있음
- 필드나 식을 기준으로 최대 10단계까지 그룹화 할 수 있으며, 같은 필드나 식도 계속해서 그룹화 가능함
46. 보고서의 보기 형태
- [보고서 보기] : 출력될 보고서를 미리 보는 기능으로 화면 출력용임. [인쇄 미리 보기]와 비슷하지만 페이지 구분 없이 보고서를 모두 표시함
- [레이아웃 보기] : [보고서 보기]와 [디자인 보기]를 혼합한 형태. 보고서로 출력될 실제 데이터와 보고서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기능으로, 데이터를 보면서 컨트롤의 크기 및 위치, 그룹 수준 및 합계를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음
- [디자인 보기] : 컨트롤 도구를 이용해 보고서를 만들거나 수정 가능한 형태로 실제 데이터는 표시되지 않음
- [인쇄 미리 보기] : 종이에 출력되는 모양 전체를 미리 볼 수 있고, 페이지 구분을 함. 보고서에 표시될 정확한 데이터를 확인하려면 인쇄 미리 보기 기능을 이용해야 함
49. Like 연산자
- 대표 문자를 이용해 필드 값이 패턴과 일치하는 레코드만 검색
- 문법 : WHERE 필드 또는 필드를 나타내는 식 LIKE 문자 패턴
- Match는 데이터 범위 내에서 원하는 데이터의 열 또는 행의 위치를 찾는 연산자임
51. 입력 마스크
- L : 입력 필수. 영문자와 한글만 입력 가능
- A : 입력 필수. 영문자, 숫자, 한글만 입력 가능
- 0 : 입력 필수. 0~9까지의 숫자만 입력 가능 (더하기, 빼기 기호 사용 불가)
- 9 : 입력 선택. 숫자나 공백 입력이 가능하지만, 공백은 저장이 안 됨 (더하기, 빼기 기호 사용 불가)
- ? : 입력 선택. 영문자와 한글만 입력 가능
53.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
- 텍스트 파일을 가져와 기존 테이블의 레코드로 추가하려는 경우 기본 키에 해당하는 필드의 값들이 고유한 값이 되도록 데이터를 수정하며 가져올 수 없음
- Excel 워크시트에서 정의된 이름의 영역을 Access의 새 테이블이나 기존 테이블에 데이터 복사본으로 만들 수 있음
- Access에서는 한 테이블에 256개 이상의 필드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원본 데이터는 열의 개수가 255개를 초과하지 않아야 함
- Excel 파일을 가져오는 경우 한 번에 하나의 워크시트만 가져올 수 있으므로 여러 워크시트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려면 각 워크시트에 대해 가져오기 명령을 반복해야 함
54. 도구
- 폼 분할 : 하나의 원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단에는 열 형식으로, 하단에는 데이터 시트 형식으로 2개의 폼이 한 화면에 작성됨. 폼을 만들면 기본적으로 레이아웃 보기 형태로 표시되므로 컨트롤의 크기 조정 및 이동, 필드 추가가 가능함
- 폼 : 열 형식의 폼이 작성되며, 관계가 설정된 테이블이 있을 경우 하단에 데이터 시트 보기 형태로 표시됨
- 여러 항목 : 테이블 형식의 폼이 작성됨
728x90
'공부 일지 > 컴퓨터활용능력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활용능력1급/필기] 2018.03.03 기출문제 오답노트 (0) | 2022.05.30 |
---|---|
[컴퓨터활용능력1급/필기] 2018.09.01 기출문제 오답노트 (0) | 2022.05.27 |
[컴퓨터활용능력1급/필기] 2019.03.02 기출문제 오답노트 (0) | 2022.05.27 |
[컴퓨터활용능력1급/필기] 2019.08.31 기출문제 오답노트 (0) | 2022.05.26 |
[컴퓨터활용능력1급/필기] 2020.07.04 기출문제 오답노트 (0) | 2022.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