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다한 배똥월드

728x90

 

 

 

 

 

파이어 폭스 프록시가 켜진 상태에서 https 사이트에 들어가려고 하면 접속 에러가 뜰 것 입니다.

네이버에 진입하는 것부터 막히는데,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려고 합니다.

 

 

 

 

 

 

먼저 파이어폭스에서 http:s//burp에 접속합니다.

 

 

 

 

 

 

burp 사이트 입장했다면 오른쪽 상단의 CA Certificate 메뉴를 클릭한 후, CA 인증서를 다운 받습니다.

 

 

 

 

 

 

정상적으로 다운로드 되었다면 Downloads 폴더에서 cacert.der이란 파일이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다운 받은 CA 인증서를 파이어폭스에 가져와야하는데, 파이어폭스 설정에 들어가서 certificates를 검색하여 View Certificates 버튼을 찾습니다.

 

 

 

 

 

 

올바르게 왔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뜰 것입니다.

 

 

 

 

 

해당 화면에서 스크롤을 조금 내리면 Import가 있으며, 이것을 눌러 CA 인증서를 임포트합니다.

Trust~ 이런 내용은 대충 CA를 믿느냐고 물어보는 것이기 때문에 체크하고 OK를 눌러 넘어가면 됩니다.

 

 

 

 

 

 

그러면 접속 에러는 뜨지 않을 것 입니다..

(사실 왜 접속은 안되는진 모르겠음 나중에 공부하면 알게 되겠지)

 

 

 

 

 

728x90
728x90

 

 

 

 

 

폭시프록시 : 프록시 스위치 역할..?

 

 

 

어쨋든 설정 방법입니다.

파이어폭스 메뉴에서 [Add-ons and themes]를 선택합니다.

 

 

 

 

 

 

검색창에 foxy를 검색하면 새 창이 열리면서 검색 결과가 나오는데,

그 중에서 FoxyProxy Basic을 찾아 선택 후 파이어폭스에 추가합니다.

 

 

 

 

 

 

추가하면 파이어폭스를 다시 시작하면 주소창 옆에 못 보던 아이콘이 생깁니다.

이 아이콘을 클릭하여 Options를 선택하면 폭스프록시 애드온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새로운 프록시를 추가하기 위해서 add를 클릭한 후에 IP주소와 포트 번호를 입력합니다.

 

 

 

 

 

 

그 외에는 선택사항으로 작성하고 싶은 것들 작성한 후에 save를 눌러 저장합니다.

 

 

 

 

 

정상적으로 추가가 되었다면 주소창 옆 폭스프록시 아이콘을 누르면 Turn Off일 때는 프록시가 꺼진 것이고, ip주소를 누르면 해당 ip로 프록시가 켜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전에 추가한 파이어 폭스의 프록시 설정은 Use system proxy settings로 변경해줍니다.

 

(파이어폭스 메뉴 - Settings - General - Network Settings - Settings...)

 

 

 

 

이상으로 폭스프록시에 관한 설정이 끝났습니다!

 

 

 

 

 

728x90
728x90

 

 

 

 

HTTP 프록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버프 스위트를 사용할건데,

저의 경우에는 미리 프로그램 메뉴에서 바탕화면으로 옮겨놨습니다.

 

 

 

 

 

 

프로그램을 처음 시작하면 라이선스 동의를 구하는 창이 표시되는데, 이것은 그냥 동의하고 넘어갑니다.

 

 

 

 

그리고 나타나는 화면이 프로젝트 선택 화면.

 

 

 

 

 

 

유료 버전은 프로젝트를 불러오거나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하지만 무료 버전은 제공하지 않아서

제일 위의 버튼인 Temporary project(임시 프로젝트)를 선택후 Next를 누릅니다.

 

 

 

 

 

 

그 다음 화면은 설정파일을 선택하는 화면인데, 저도 잘 모르니까 그냥 기본값 선택하고 Start Burp를 눌러

프로젝트를 시작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모든 설정이 끝났고, 아래의 화면이 버프 스위트가 실행되는 첫 화면입니다.

 

 

 

 

 

 

 

728x90
728x90

 

 

 

 

버추얼 박스 관리자의 머신 도구의 스냅샷 메뉴를 선택해줍니다.

(캡쳐가 안되서 스냅샷 메뉴까진 못 찍었지만, 아래 사진의 빨간 박스를 선택하면 보입니다.)

 

 

 

 

 

 

그 후 찍기 메뉴를 눌러 스냅샷의 이름과 설명을 작성 후 확인을 누르면 됩니다.

 

 

 

 

 

 

추가되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바뀐 것을 볼 수 있습니다.

 

 

 

 

 

 

 

728x90
728x90

 

 

 

 

 

터미널에서 실행할 명령어

# apt-get install -y fcitx-lib*
# apt-get install -y fcitx-hangul

 

 

 

 

 

그리고 나서 다음에 할 것들이 중요하다.

 

 

 

 

 

 

 

시스템 메뉴에서 Input Method를 찾아서 눌러줍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건데, 오른쪽 하단의 OK 누르고, Yes를 눌러줍니다.

 

 

 

 

 

 

 

 

그러면 뭔가를 선택하라고 나오는데 fcitx를 선택하고 OK 누르고, 또 눌러줍니다.

 

 

 

 

 

 

 

 

 

그러면 1차적인 설정은 끝났는데, 일단은 터미널에서 sudo reboot 명령어를 입력하여 재부팅합니다.

그리고 나서 아래와 같이 Input Method에 Hangul이 뜨면 설정이 잘 됬고,

안 뜨면 다시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시스템 메뉴에서 Fcitx Configuration을 찾아서 클릭합니다.

 

 

 

 

 

저는 Hangul이 잘 뜨기 때문에 아래에 있지만, 없어서 여기까지 왔기 때문에 +를 눌러 추가해야 합니다.

 

 

 

 

 

Only Show Current Language의 체크를 풀고, 맨 밑 쪽에 Hangul을 찾아 추가하면 됩니다.

저는 추가가 되어 있기 때문에 따로 뜨지 않아서 캡쳐에는 없습니다.

어쨋든 찾아서 Ok를 눌러 추가해줍니다.

 

 

 

 

 

 

한영키는 Global Config를 눌러 두번째의 Extra key ~~~ 이 부분의 키가 한영키인데, 따로 변경이 가능하며

저의 경우에는 왼쪽 시프트키가 한영키를 대신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한글 입력이 가능해졌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