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일지/컴퓨터활용능력1급

[컴퓨터활용능력1급/필기] 201503~202007 랜덤 기출 문제 오답 노트 1

배똥회장 2022. 6. 8. 10:23
728x90

 

 

 

2. 멀티미디어 특징 용어

  • 선형 콘텐츠 : 탐색 제어 없이 진행. 예) 영화 화면 표현 등
  • 비선형 콘텐츠 : 하이퍼 미디어 콘텐츠로도 알려졌으며, 컴퓨터 게임이나 컴퓨터 기반 훈련과 같이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행 상황을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특징

 

 

 

 

 

3. 비트맵 방식

  • 픽셀(Pixel)로 이미지를 표현하며 이미지를 확대하면 테두리가 거칠어짐
  • 래스터 방식이라도고 하며 다양한 색상을 사용하므로 사실 같은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음
  • 이미지 저장 시에 많은 용량을 차지하고 속도가 느림
  • 파일 형식에는 BMP, GIF, JPG, PNG, TIF, PCX 등이 있음
  • GIF는 무손식 압축 방식만, JPG는 손실/무손실 압축 방식을 둘 다 씀

 

 

 

 

 

6. 컴퓨터 통신의 OSI 7계층

  • 물리계층 (1계층) : 허브, 리피터
  • 데이터 링크 계층 (2계층) : 스위치, 랜 카드, 브리지
  • 네트워크 계층 (3계층) : 라우터 L3 스위치
  • 전송 계층 (4계층) : 게이트웨이, L4 스위치

 

 

 

 

 

16. 레지스터(Register)

  • CPU 내부에서 처리할 명령어나 연산 결과 값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억장치
  • 레지스터의 크기는 컴퓨터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냄
  • 구조는 플립플롭(Flip-Flop)이나 래치(Latch)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함
  • 내용을 영구적으로 보관하지 않아서 휘발성 메모리임

 

 

 

 

 

17. NTFS 파일 시스템

  • FAT32 파일 시스템과 비교하여 성능 및 안전성이 우수함
  • Windows10의 경우 MBR 파티션은 하나의 디스크 파티션 크기를 최대 약 2TB로 제한하며, GPT 파티션은 9.4ZB(제타 바이트)까지 허용한다고 확인됨
  • 비교적 큰 오버헤드가 있기 때문에 약 400MB 이하의 볼륨에서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음
  • 파일 및 폴더에 대한 액세스 제어를 유지하고 제한된 계정을 지원함

 

 

 

 

 

18. [제어판] - [백업 및 복원] 의 '백업 설정'

  • 정기적으로 예약된 백업 시간에 컴퓨터가 꺼져 있거나, 절전 모드이거나, 최대 절전 모드인 경우 Windows 백업에서는 해당 백업을 건너뛰고 예약된 다음 백업 때까지 기다림
  • '자동 선택' 방식으로 백업하는 경우 해당 컴퓨터에 사용자 계정이 있는 모든 사용자의 기본 Windows 폴더, 바탕화면 및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백업함
  • '직접 선택' 방식으로 백업하는 경우 직접 원하는 드라이브 또는 폴더 등을 지정하여 백업할 수 있음 (시스템 폴더의 파일은 시스템 복원 하기 및 설정과 관련됨)
  • 기본적으로 백업은 정기적으로 만들어지며, 일정을 변경하고 백업을 수동으로 만들 수 있음

 

 

 

 

 

23. [찾기 및 바꾸기]

  • 특정 서석이 있는 텍스트나 숫자를 찾을 수 있음
  • 데이터를 뒤에서부터 앞으로 검색하려면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다음 찾기>를 클릭
  • 영문자의 경우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찾을 수 있음
  • 찾는 위치를 수식, 값, 메모 중에서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음

 

 

 

 

 

24. 추세선

  • 특정한 데이터 계열에 대한 변화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표시하는 선
  • 추세선이 추가된 계열의 차트를 3차원으로 변경하면 추세선이 삭제됨
  • 추세선의 종류에는 선형, 로그, 다항식, 거듭제곱, 지수, 이동 평균으로 총 6가지임
  • 3차원, 방사형, 원형, 도넛형, 표면형 차트에는 추세선을 추가할 수 없음

 

 

 

 

 

28. 윤곽

  • 윤곽 기호를 설정하면 그룹의 요약 정보만 또는 필요한 그룹의 데이터만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함
  • 그룹별로 요약된 데이터에서 [윤곽 지우기]를 실행하면 설정된 윤곽 기호만 지워짐
  • [부분합]을 실행하면 각 정보 행 그룹의 바로 아래나 위에 요약 행이 삽입되고, 윤곽이 자동으로 만들어짐
  • 그룹화하여 요약하려는 데이터 목록이 있는 경우 데이터에 최대 8개 수준의 윤곽을 설정할 수 있으며 한 수준은 각 그룹에 해당됨

 

 

 

 

 

29. Visual Basic Editor에서의 바로 가기 키

  • <F8> : 매크로를 한 단계씩 실행함
  • <Ctrl> + <F8> : 모듈 창의 커서 위치까지 실행
  • <F5> : 매크로를 바로 실행

 

 

 

 

 

33. 시트의 특정 범위만 항상 인쇄

  • 인쇄할 영역을 블록 설정한 후 [페이지 레이아웃] 탭 [페이지 설정] 그룹의 [인쇄 영역] - [인쇄 영역 설정]을 클릭
  • 인쇄 영역으로 설정되면 페이지 나누기 미리보기에서는 설정된 부분은 밝게, 설정 안 된 부분은 어둡게 표현됨
  • 인쇄 영역을 설정하면 자동으로 Print_Area라는 이름이 작성되며, 이름은 <Ctrl> + <F3> 키 혹은 [수식] 탭 - [정의된 이름] 그룹 - [이름 관리자] 에서 확인할 수 있음
  • 인쇄 영역 설정은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의 [시트] 탭에서 지정할 수 있음

 

 

 

 

 

34. 단축키

  • <Home> 키를 누르면 해당 행의 맨 첫번째 셀로 이동함 => B3셀에서 누르면 A3셀로 이동
  • <Ctrl> + <Home> 키를 누르면 맨 처음 셀인 A1셀로 이동함
  • <Ctrl> + <End> 키를 누르면 마지막 데이터 셀로 이동함
  • <Shift> + <Enter> 키를 누르면 한 행 위의 셀로 이동함

 

 

 

 

 

35. 워크시트 이름

  • * / : ? [] 등의 문자는 사용할 수 없음

 

 

 

 

 

40. [페이지 레이아웃] 보기 상태

  • 기본 보기와 같이 데이터 형식과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음
  • 페이지 레이아웃 보기에서 표시되는 눈금자의 단위는 [Excel 옵션] 의 '고급' 범주에서 변경할 수 있음
  • 마우스를 이용하여 페이지 여백과 머리글과 바닥글 여백을 조정할 수 있음
  • 페이지 나누기는 [페이지 레이아웃] - [페이지 설정] - [나누기] - [페이지 나누기 삽입]에서 가능함

 

 

 

 

 

47. 보고서의 레코드 원본

  • [보고서 마법사]를 통해 원하는 필드들을 손쉽게 선택하여 레코드 원본으로 지정할 수 있음
  • 1개 이상의 테이블을 레코드 원본으로 지정할 수 있음
  • [속성 시트]의 '레코드 원본' 드롭다운 목록에서 테이블이나 쿼리를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음
  • 쿼리 작성기를 통해 새 쿼리를 작성하여 레코드 원본으로 지정할 수 있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