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 사용자에게 접근이 허용된 자료만을 제한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하나 이상의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된, 이름을 가지는 가상 테이블
- 저장장치 내에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사용자에게는 있는 것처럼 간주됨
- 데이터 보정 작업, 처리 과정 시험 등 임시적인 작업을 위한 용도로 활용
- 조인문의 사용 최소화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최대화함
- 뷰를 생성하면 뷰 정의가 시스템 내에 저장되었다가 생성된 뷰 이름을 질의어(예를 들면 SQL)에서 사용할 경우 질의어가 실행될 때 뷰에 정의된 기본 테이블로 대체되어 기본 테이블에 대해 실행됨
2. 특징
-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된 테이블이기 때문에 기본 테이블과 같은 형태의 구조를 사용하며 조작도 기본 테이블과 거의 같음
- 가상 테이블이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구현되어 있지 않음
- 데이터의 논리적 독립성을 제공할 수 있음
- 필요한 데이터만 뷰로 정의해서 처리할 수 있음 => 관리가 용이하고 명령문이 간단
- 뷰를 통해서만 데이터에 접근하게 하면 뷰에 나타나지 않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율적인 기법으로 사용할 수 있음
- 기본 테이블의 기본키를 포함한 속성(열) 집합으로 뷰를 구성해야만 삽입, 삭제, 갱신 연산이 가능
- 일단 정의된 뷰는 다른 뷰의 정의에 기초가 될 수 있음
- 뷰가 정의된 기본 테이블이나 뷰를 삭제하면 그 테이블이나 뷰를 기초로 정의된 다른 뷰도 자동으로 삭제됨
- 뷰를 정의할 때는 CREATE문, 제거할 때는 DROP문을 사용함
3. 장점
-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을 제공
- 동일 데이터에 대해 동시에 여러 사용자의 상이한 응용이나 요구를 지원
- 사용자의 데이터 관리를 간단하게 해줌
- 접근 제어를 통한 자동 보안이 제공
4. 단점
- 독립적인 인덱스를 가질 수 없음
- 뷰의 정의를 변경할 수 없음
- 뷰로 구성된 내용에 대한 삽입, 삭제, 갱신 연산에 제약이 따름
5. 고려 사항
- 테이블 구조가 단순화 될 수 있도록 반복적으로 조인을 설정하여 사용하거나 동일한 조건절을 사용하는 테이블을 뷰로 생성
- 동일한 테이블이라도 업무에 따라 테이블을 이용하는 부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용할 데이터를 다양한 관점에서 제시해야 함
- 데이터의 보안 유지를 고려하여 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