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사용자의 요구를 분석하여 그것들을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에 맞게 변형한 후 특정 DBMS로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여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게 하는 것
2.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고려사항
- 무결성 : 삽입, 삭제, 갱신 등의 연산 후에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가 정해진 제약 조건을 항상 만족해야 함
- 일관성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들 사이나, 특정 질의에 대한 응답이 처음부터 끝까지 변함없이 일정해야 함
- 회복 :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장애 발생 직전의 상태로 복구할 수 있어야 함
- 보안 : 불법적인 데이터의 노출 또는 변경이나 손실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야 함
- 효율성 : 응답시간의 단축, 시스템의 생산성, 저장 공간의 최적화 등이 가능해야 함
- 데이터베이스 확장 : 데이터베이스 운영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어야 함
3. 데이터베이스 설계 순서
- 요구 조건 분석 : 요구 조건 명세서 작성
- 개념적 설계 : 개념 스키마, 트랜잭션 모델링, E-R 모델
- 논리적 설계 : 목표 DBMS에 맞는 논리 스키마 설계, 트랜잭션 인터페이스 설계
- 물리적 설계 : 목표 DBMS에 맞는 물리적 구족의 데이터로 변환
- 구현 : 목표 DBMS의 DDL(데이터 정의어)로 데이터베이스 생성, 트랜잭션 작성
4. 요구 조건 분석
-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사람들로부터 필요한 용도를 파악하는 것
- 사용자에 따른 수행 업무와 필요한 데이터의 종류, 용도, 처리 형태, 흐름, 제약 조건 등을 수집
-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요구 조건 명세를 작성
5. 개념적 설계(정보 모델링, 개념화)
- 정보의 구조를 얻기 위하여 현실 세계의 무한성과 계속성을 이해하고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 개념으로 표현하는 과정
- 개념 스키마 모델링과 트랜잭션 모델링을 병행 수행
- 요구 조건 명세를 DBMS에 독립적인 E-R 다이어그램으로 작성
- DBMS에 독립적인 개념 스키마를 설계
6. 논리적 설계(데이터 모델링)
- 현실 세계에서 발생하는 자료를 컴퓨터가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물리적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도록 변환하기 위해 특정 DBMS가 지원하는 논리적 자료 구조로 변환(mapping) 시키는 과정
- 필드로 기술된 데이터 타입과 이 데이터 타입들 간의 관계로 표현되는 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모델화
- 개념 스키마를 평가 및 정제하고 DBMS에 따라 서로 다른 논리적 스키마를 설계하는 단계
- 트랜잭션의 인터페이스를 설계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라면 테이블을 설계하는 단계
7. 물리적 설계(데이터 구조화)
-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논리적 구조로 표현된 데이터를 디스크 등의 물리적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
- 데이터베이스 파일의 저장 구조 및 액세스 경로를 결정
- 저장 레코드의 형식, 순서, 접근 경로와 같은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가 컴퓨터에 저장되는 방법을 묘사
- 기본적인 데이터 단위 : 저장 레코드(Stored Record)
- 여러 가지 타입의 저장 레코드 집합이라는 면에서 단순한 파일과 다름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성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침
8.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꼭 포함되어야 할 것
- 저장 레코드의 양식 설계
- 레코드 집중(Record Clustering)의 분석 및 설계
- 접근 경로 설계 등
9. 물리적 설계 시 고려 사항
- 인덱스의 구조
- 레코드 크기
- 파일에 존재하는 레코드 개수
- 파일에 대한 트랜잭션의 갱신과 참조 성향
- 성능 향상을 위한 개념 스키마의 변경 여부 검토
- 빈번한 질의와 트랜잭션들의 수행속도를 높이기 위한 고려
- 시스템 운용 시 파일 크기의 변화 가능성
10. 물리적 설계 옵션 선택 시 고려 사항
- 물리적 설계 옵션 : 특정 DBMS에서 제공되는 것,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대한 저장 구조와 접근 경로에 대한 다양한 옵션
- 반응 시간(Response Time) : 트랜잭션 수행을 요구한 시점부터 처리 결과를 얻을 때까지의 경과 시간
- 공간 활용도(Space Utilization) : 데이터베이스 파일과 액세스 경로 구조에 의해 사용되는 저장공간의 양
- 트랜잭션 처리량(Transaction Throughput) : 단위시간 동안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트랜잭션의 평균 개수
11. 데이터베이스 구현
- 논리적 설계 단계와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도출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파일로 생성하는 과정
- 사용하려는 특정 DBMS의 DDL(데이터 정의어)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기술한 후 컴파일한 빈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생성
- 생성된 빈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데이터를 입력
-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트랜잭션을 작성
-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